View

1. git 설치

2. git bash

3. git init 초기화 : .git폴더 생성, 버전관리 시작

 

$ git init
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

4. git add : staging area 에 추가

git add 원하는 파일 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한 파일만 스테이지에 올릴 수 있다.

5. commit : 의미있는 변동사항

커밋 메세지 작성에 공을 들일 것.

git commit -m "원하는 메시지" 등으로 입력

6. git remote add origin 원격 저장소와 연결

7. git push origin master : master 브랜치에 push

 

원격 저장소 받아오기 : clone

 

git pull origin master

 

 

git 파일 상태 : 추적됨  / 추적안됨 gui상에서 추적되지 않은 파일은 ?로 나타남git 설치

 

2. git bash

 

3. git init 초기화 : .git폴더 생성, 버전관리 시작

 

 

 

$ git init

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 

4. git add : staging area 에 추가

 

git add 원하는 파일 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한 파일만 스테이지에 올릴 수 있다.

 

5. commit : 의미있는 변동사항

 

커밋 메세지 작성에 공을 들일 것.

 

git commit -m "원하는 메시지" 등으로 입력

 

6. git remote add origin 원격 저장소와 연결

 

7. git push origin master : master 브랜치에 push

 

 

 

원격 저장소 받아오기 : clone

 

 

 

git pull origin master

 

 

 

 

 

git 파일 상태 : 추적됨 / 추적안됨 gui상에서 추적되지 않은 파일은 ?로 나타남

 

추적됨 : 수정없음, 수정됨, 스테이지됨 

 

작업공간 : 수정유무 / 스테이지유무

 

 

드라이브 이동 cd /원하는 드라이브 (ex. cd /d D드라이브로 이동)

폴더명 자동완성 tab버튼

ls 폴더내부 확인

ls -al 숨겨진 .git 폴더까지 확인

추가 학습 : 리눅스 명령어

 

 

Share Link
reply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